CentOS 강좌 PART 2. 2 DNS Server 구축과 운영 2 1.Master DNS Server Local host file 구성 123456[root@ns1 whchoi]# hostnamectl set-hostname ns1.cisko-dc.com[root@ns1 whchoi]# hostnamectl status Static hostname: ns1.cisko-dc.com # hostname을 사용할 nameserver 호스트이름으로 변경하고 확인한다.# /etc/hosts 파일도 동일하게 변경해 준다.Colored by Color Scriptercs 2. Master Bind 설치 1234[root@ns1 whchoi]# yum -y install bind bind-utils[root@ns..
CentOS 강좌 PART 2. 1 SSH Server 구축과 운영[OpenSSH 소개 ] CentOS를 설치하면 기본 OpenSSH가 설치되어 있다. OpenSSH(Secure Shell)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원격 접속 프로그램인 Telnet 을 대체하는 가장 범용적인 어플리케이션이다.Telnet에 비해 연결성을 암호화 함에 따라 내용과 패스워드 등이 암호화 되어, 비교적 안전하게 접속 관리할 수 있다. [SSH 구동 확인] SSH는 기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정상적 구동을 확인만 하면 된다. [root@centos151 whchoi]# rpm -qa | awk '/ssh/'openssh-server-7.4p1-16.el7.x86_64libssh2-1.4.3-12.el7.x86_64openssh-7...
VI 에디터 소개와 사용법[VI - Visual Display Editor 소개] 리눅스를 사용자가 얼마나 잘 다루는지 보려면, VI 에디터를 다루는 수준을 보면 금방 알 수 있다는 말이 있다. 그 정도로 VI 에디터는 리눅스 운용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자주 사용하게 되는 도구이다.세상에서 가장 가볍고 강력한 도구를 제공하는 편집기이며, Shell, 프로그래밍 코딩 수정등 다양하게 사용된다.물론 VI 에디터 이외에도 리눅스에서 제공되거나 추가로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에디터들을 많이 있다. (e.g nano, emacs 등.) VI 에디터는 문서편집기의 기능답게 문서를 수정하기 위한 편리한 이동방법, 입력, 수정, 검색 및 대치 그리고 실행과 종료 기능들을 제공한다.특히 VI 에디터는 학습 보다는 직접 ..
CentOS 강좌 PART 1. 9 YUM 소개와 YUM repository mirror 사이트 구축[ Yum - Yellowdog Update Manager] Yum은 RPM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공되는 도구이다. RPM의 경우에는 의존성 이슈로 인해 필요한 도구들을 사용자가 일일히 설치과정을 진행해야 한다.하지만 Yum은 패키지의 의존성이 존재할 때 , 다른 패키지들을 알아서 자동으로 먼저 설치해 주는 매우 유용한 리눅스 설치도구이다. 우분투의 apt와 매우 유사한 도구이다.Yum은 공개 또는 사설 Repository 에서 설치에 필요한 RPM 및 의존성이 존재하는 RPM파일을 모두 함께 설치하게 된다.또한 설치, 검색, 삭제 , 그룹화된 패키지 정보까지 일괄 알아 볼 수 있도록 편리한 명령어..
CentOS 강좌 PART 1. 7 네트워크 구성 [ 일반 네트워크 구성 ] CentOS7에서는 기존 하위 버전과 달리 ifconfig,netstat 등 네트워크 관리 유틸리티 도구를 기본 탑재하여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 RedHat에서 제공하는 nmcli 가 메인이며, 수동 설정방법 또는 nmtui 와 같은 도구로 설정 관리를 할 수 있다. 하위버전의 ifconfig, netstat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net-tools"를 yum을 통해 다운로드 설치하면 된다. 여기에서는 수동설정 방법, nmcli 명령어 기반 구성 방법과 모니터링, nmtui 기반의 구성방법등을 소개한다. [수동 설정방법 - /etc/sysconfig/network-script/ifcfg ] network-scripts 파일을 ..
CentOS 강좌 PART 1. 6 시스템 프로세스와 자원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멀티 태스킹을 지원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시스템의 프로세스와 자원(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CentOS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도구들로 시스템 프로세스 및 메모리 등의 자원관리를 살펴본다. [리눅스 프로세스 정보] PID (Process ID) 프로세스 시작 시 할당되는 프로세스 식별 번호 UID (User ID) 프로세스를 소유하는 User 계정을 식별하는 번호 프로세스에 대한 사용자 권한을 파악할 수 있음. GID (Group ID) 그룹 식별 번호. 프로세스가 속해 있는 그룹을 표시 리눅스 시스템 자원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 ps 명령어 요약 ps -aux 자원활용률에 대한 확인 ps -ef ..
CentOS 강좌 PART 1. 5 사용자 권한 명령어 요약 사용자 그룹 관련 명령어 groups "username" 사용자계정이 포함된 그룹 출력 groupadd "groupname" 그룹추가 gpasswd "groupname" 그룹 패스워드 생성 gpasswd -A "username" "groupname" 특정 사용자 계정을 그룹관리자로 지정. tail -n 5 /etc/group 생성된 그룹 확인 tail -n 5 /etc/gshadow 생성된 그룹 확인 gpasswd -a "username" "groupname" 특정사용자 계정을 특정그룹에 포함. gpasswd -d "username" "groupname" 특정사용자 계정을 특정그룹에서 제외. groupdel "groupname" 그룹삭제 파일 ..
CentOS 강좌 PART 1. 3 리눅스 기본 명령어 2편 [파일관리를 위한 명령어] 파일 관리를 위한 다양한 명령어들을 숙지해 두면 리눅스의 기본 파일 관리에 매우 편리하다.명령어 요약 ls 관련 명령 요약 ls -al 현재 경로안의 모든 파일을 나열하고, 파일 형태, 사용권한, 하드링크 번호, owner 이름, group 이름, 파일 크기, 시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파일이 만들어진 날자다)을 자세하게 나열 ls -alu 파일, 디렉토리 생성 날짜 기준으로 출력ls -alS 파일,디렉토리 사이즈 크기 순으로 정렬하여 출력ls-alSr 파일, 디렉토리 사이즈가 작은 순으로 정렬하여 출력ls /home/whchoi/*_test >> /home/whchoi/ls_test/out.txt ls 출력 결과물..